PUBLICATIONS

HOME location RESEARCHERS location PUBLICATIONS

Member Publications

일자리 분포의 변화와 동인에 관한 연구: 1993-2016년

전병유, 정세은


Author
전병유, 정세은

Title
일자리 분포의 변화와 동인에 관한 연구: 1993-2016년
A Study on the Changes of Job Distribution and its Drivers: Korea 1993-2016

Journal
경제발전연구

Year
2017


Abstract

이 글은 1993-2016년의 기간을 대상으로 한국에서의 일자리 분포의 변화와 그 동인을 분석했다. 일자리 분포 변화를 설명하는 이론들 중에서 기술변화에 따른 직업구성의 변화로 설명하는 수요 중심 이론, 고령화와 고학력화 등 노동 공급 중심 이론, 그리고 노동시장 불평등의 일자리 분포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이론 등을 살펴보고, 우리나라 일자리 분포의 변동에 대해 이러한 가설들을 검증하는 방식으로 분석했다. 분석 결과, 노동 공급 요인보다 노동수요와 노동시장 불평등 요인 가설이 지지되었다. 일자리 분포의 양극화 경향은 1993-2008년 기간 중 나타났으나 2009-2016년간에는 완화되었다. 일자리 양극화 과정에서는 기술로 대체하기 어려운 대인서비스 부문의 저임금일자리 증가가 일자리 양극화에 기여했으며, 2009-2016년 기간 중에도 대인서비스 저임금일자리는 꾸준히 증가하였다. 고령화와 고학력화 요인은 이러한 일자리 분포 변화에 큰 영향을 미치지 못한 반면 노동시장에서의 불평등 심화는 서비스 부문의 저임금일자리를 확대하는 요인으로 작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This paper analyzes the changes in the distribution of jobs in Korea and their drivers for the period 1993-2016. Among the theories explaining the change of job distribution, the demand-centered theory explaining the change of the occupational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technological change, the labor supply-oriented theory such as aging and higher education, and the theory of increasing the demand for low-skilled jobs. This paper analyzed the variations in the distribution of jobs in Korea by examining these hypotheses. As a result, demand factor hypothesis and labor market inequality hypothesis were supported rather than labor supply factor. The trend of polarization of job distribution occurred during the period 1993-2008, but it was eased in 2009-2016. The increase of low wage job in the interpersonal service sector, which is difficult to replace with technology contributes to job polarization. The number of low-paying interpersonal services has steadily increased during the period 2009-2016. The increase in labor supply, such as the increase in female labor supply, aging and higher education, did not affect the change of job distribution, while the increase in inequality contributed to the expansion of low-wage service jobs.


전병유, 정세은. (2017). 일자리 분포의 변화와 동인에 관한 연구: 1993-2016년. 경제발전연구, 23, 31-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