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HOME location RESEARCHERS location PUBLICATIONS

Member Publications

1990년대 이후 소득 불평등 변화 요인에 관한 연구

정준호, 전병유, 장지연


Author
정준호, 전병유, 장지연

Title
1990년대 이후 소득 불평등 변화 요인에 관한 연구
Accounting for Changes in Income Inequality of Korea, 1990-2016

Journal
사회복지정책

Year
2017


Abstract

본 연구는 1990년대 이후 소득 불평등의 변동 요인들을 분석하였다. 특히, 2008년 이전 소득 불평등상승을 이끌었던 요인들이 방향을 바꾸었는지, 아니면 새로운 불평등 요인들이 생성되었는지를 소득원천별과 가구특성별 요인분해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2008년 이후 소득불평등이 정체된 것은 이전 시기 불평등 상승 요인이었던 가구주근로소득과 가구주의 학력, 직업, 종사상 지위 요인들이 불평등 완화 요인으로 전환한 데 가장 크게 기인한다. 배우자근로소득, 맞벌이, 인구고령화 등은 지속적인 불평등 상승 요인이었으나, 노동시장에서의 불평등 완화 요인들의 효과를 상쇄할 수 없었다. 재산소득(특히, 주택임대소득)이 2008년 이후 새로운 불평등 상승 요인으로 등장하였으며, 공적이전의 불평등 완화 효과가 아직은 미흡하고, 이전지출의 불평등 완화 효과는 불평등 상승기에 더 크다는 사실도 확인하였다. 정책적 시사점으로, 소득불평등을 완화하기 위해서는 노동시장 격차를 줄이는 것이 우선적인 과제라는 점, 그럼에도 재산소득, 맞벌이, 인구고령화 등 새로운 불평등 요인에 대응해야 한다는 점, 공적이전의 보편성을 확보하여 불평등 완화 메커니즘이 확고해져야 한다는 점 등을 제시했다.

This study analyzed the factors that led to the transition of income inequality from 2008 to the mitigation in Korea. Before 2008, we analyzed whether the factors that led to the increase in income inequality changed direction or whether new inequality factors were generated. The analysis shows that the decrease in income inequality since 2008 is due to the fact that househead income, which was a factor of increase in inequality in the previous period, and househead`s education, occupation, and job status turned to inequality mitigation. Increase in spouse earned income, increase in dual income, and aging population continued to cause inequality, but they could not offset the effects of inequality mitigation in the labor market. We also confirmed the fact that property income (housing rental income) has emerged as a new factor of inequality increase since 2008, that the effect of mitigation of inequality before the public is still insignificant, and that the public expenditure functions as an automatic stabilization of inequality. The policy implication is that reducing labor market gaps is a priority for mitigating inequality, but there is a high possibility that new income inequality will emerge as a result of property income, double income, and population aging. However, that the public transfer`s effects of mitigating inequality can work in the future.


정준호, 전병유, 장지연. (2017). 1990년대 이후 소득 불평등 변화 요인에 관한 연구. 사회복지정책, 44(2), 29-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