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HOME location RESEARCHERS location PUBLICATIONS

Member Publications

한국에서의 부와 상속, 1970-2014

김낙년


Author

김낙년


Title

한국에서의 부와 상속, 1970-2014

Wealth and Inheritance in Korea, 1970-2013


Journal

경제사학


Year

2017



Abstract 


부의 축적은 스스로 번 소득의 일부를 저축하거나 상속(증여 포함)으로 부를 이전(transfer) 받는 것을 통해 이루어진다. 여기서는 피케티(T. Piketty)가 제안한 방법에 따라 이 두 가지 경로 중에서 어느 쪽이 얼마나 더 중요한지를 추정하였고, 거기에 영향을 미친 요인들을 구명하였다. 이를 통해 드러난 사실은 다음과 같다. 첫째, 연간 상속액 규모는 1970년대에는 국민소득의 6.0%, 1980년대의 5.2%로 바닥을 친 후 2010년대에는 7.2%로 높아졌다. 둘째, 부의 축적에서 상속이 기여한 비중은 1980년대에 37.7%에서 1990년대 이후 29% 전후로 떨어졌다가 2010년대에는 다시 38.3%로 높아졌다. 셋째, 이들 지표의 장기계열이 추계된 프랑스, 영국, 독일, 스웨덴의 경우 20세기 초의 매우 높은 수준에서 두 번의 세계대전을 거치면서 크게 하락한 후 상속의 중요성이 다시 커지는 U자형의 추이를 보였다. 이들과 비교하면 한국의 수준은 아직은 낮은 편이다. 넷째, 한국에서 상속의 비중이 낮았던 것은 사망률이 낮았고, 경제성장률과 저축률이 높아 젊은 층이 자산을 축적할 기회가 많았기 때문이다. 그렇지만 고령화의 진전이 더욱 빨라지는 향후 수십 년간은 앞의 요인들이 모두 반대 방향으로 작용하여 최근에 나타난 상속 비중의 상승 추세가 한층 가속화될 전망이다.


Wealth can be accumulated through saving from earned income and transfer of wealth including inheritance and gift. This study estimates the relative contribution of saving and transfer of wealth following the methodology suggested by the two.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amount of inheritance which was 6.0% of national income in the 1970s hit the bottom at 5.2% and rose to 7.2% in the 2010s. Third, the corresponding indices in France, U.K., Germany and Sweden show a U-shaped long-term trend. It was very high in the early twentieth century, declined sharply during World Wars I and Ⅱ and rose afterwards. Compared with these countries, Korea is still low in term of contribution of inheritance. Fourth, the low contribution of inheritance in Korea in the period of rapid growth was caused by high saving rate, low death rate, and high growth rate, which gave the young more chances to accumulate wealth than the old. However, it if expected that the contribution of inheritance will go up rapidly in the next several decades with these factors working in the opposite direction.



김낙년. (2017). 한국에서의 부와 상속, 1970-2014. 경제사학, 64, 127-160.